권주호 강원 태백우체국 영업과장

글=권주호 강원 태백우체국 영업과장

▲ 권주호 강원 태백우체국 영업과장.
2015년 8월 1일부터 우편번호가 바뀐다고 하여 새롭게 공부하는 마음으로 우편번호에 대하여 찾아보았더니 우리나라에 우편번호가 도입된 것이 1970년 7월 1일에 우체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한 것이 시초였다.

1988년 2월 1일에 행정구역별로 읍면동 단위의 6자리 우편번호로 변경 시행하였으며 2000년 5월 1일에 행정구역우편번호에 우편물 배달이 더욱 용이하도록 집배원 담당구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우편번호의 개편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여섯 자리의 우편번호는 2014년 1월부터 실시된 국가기초구역제의 실시에 따른 기초구역번호인 다섯 자리로 변경된다.

국가기초구역번호의 체계를 살펴보면 앞의 두 자리는 광역시·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세 번째 자리는 시·군·구를 표시하며 마지막 두 자리는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잘 쓰던 우편번호를 왜 많은 예산을 들여가면서 바뀌냐는 불평도 많지만 우편번호를 변경함으로 인하여 얻어지는 편익이 더 많기 때문에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 우편번호는 우체국에서 우편물을 보낼 때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새 우편번호를 사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편익으로는 새로 바뀌는 우편번호가 도로명주소를 기초로 하는 것이기에 국가 기초구역번호를 사용하는 소방서·학교·통계청·치안 등 각종행정기관과의 자료 공유 및 연계가 가능해 국민의 생활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또한, 우편번호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한 기업들의 신규 산업 창출에도 기여하는 등 편익이 훨씬 커 창조경제의 주춧돌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새롭게 바뀌는 우편번호가 빨리 정착되어 단순히 우체국에서 우편물을 보낼 때 사용하는 숫자가 아닌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 시켜줄 수 있는 아름다운 숫자로 인식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