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법 동원 전방위 유치노력 절실

 "Know Your Enemy, and Know Yourself Well; Then, in 100 Battles, 100 Victories are Assured"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하는 과테말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총회를 6개월여 앞둔 평창 유치위원회(위원장 한승수)의 분위기가 가히 전시상황이다.

 유치위원회 직원들도 2월 14∼17일까지 예정된 IOC 평가위원회의 현지실사준비에 전열을 가다듬느라 밤낮을 잊고 있다.

 유치위가 이처럼 전에 없던유치전의(戰意)를 다지고 있는 건 더이상 지난 2003년 7월 체코 프라하 IOC 총회 때 경험했던 2010년 대회유치 실패의 고배(苦配)를 들지 않기 위해서다.

 체코의 악몽은 1차 투표에서 유효 투표수 107표 중 51표를 얻어 경쟁했던 캐나다 밴쿠버(40표)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16표)를 따돌리며 선전했지만 과반 확보 실패로 결선 투표 끝에 53표로 56표를 획득한 밴쿠버에 개최권을 넘겨 준 것이다.

 그 후 와신상담(臥薪嘗膽)의 4년여 세월이 흘러 오늘에 이르기까지 7개 후보 도시 중 1차 관문을 통과하고 이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러시아 소치와 다시 한번 진검승부를 겨뤄야 한다.

 그렇기에 유치위의 비장함은 더없이 클 수 밖에 없다.

 유치위는 4년전 대회 유치에 실패했지만 평창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가 높아졌고 국민적 관심도가 3개 후보 도시 중 가장 뜨겁다는 점을 최대의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2010년 당시 IOC위원들은 강원도 산골 오지로 여겨졌던 평창이 세계적 겨울스포츠 휴양 도시인 밴쿠버와 박빙의 승부를 벌인 것에 강한 인상을 받았고 외신들도 `놀랄만한 결과'라며 강원도의 숨은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국민 지지도 91.6%는 시민들의 큰 지지를 받지 못하는 잘츠부르크, 소치와 비교해 IOC 위원들의 표를 모을 수 있는 경쟁력에서 비교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도 평창의 강점중 하나다.

 북한의 핵실험으로 평창의 대회유치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없지 않았지만 북한이 평창대회유치에 지지의사를 밝히면서 오히려 평화와 화합을 지향하는 올림픽 정신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됐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동계올림픽이 유럽 13차례, 북미 6차례, 아시아는 일본이 나가노와 삿포로에서만 2차례 열렸다는 점과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미국), 2006년 토리노(이탈리아), 2010년 밴쿠버(캐나다) 순이어서 2014년은 아시아 후보인 평창에 줘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으로 작용한다.

 경쟁 도시인 잘츠부르크는 3년 전 2010년 대회 개최지 투표에서 결선에도 나가지 못했지만 유럽계 IOC 위원들의 동정표를 상당수 확보하고 있는 데다 우수한 스키 활주 코스 등 시설이 완비된 겨울 휴양지라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오스트리아는 9회(1964),12회(1976) 등 두 차례나 동계올림픽을 유치했다는 것과 국민의 지지도가 저조하다는 것 등은 대륙간 호혜, 분배를 고수해온 IOC의 표를 얻어내는데 크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크호스는 소치다. 소치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 에너지 자원을 무기 삼아 엄청난 재원을 투입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으로 표밭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대회 유치 경험이 없고 동계 스포츠 시설이 부족하다는 약점을 대량 물량공세로 극복하려는 것이다.

 일반의 예상을 깨고 당초 유치신청을 낸 7개 도시중 후보도시로 낙점된 것은 물량공세의 위력을 보여준 실예다.

 국제 스포츠 무대의 거물이었던 김운용 전 IOC부위원장이 개인 비리에 연루돼 자진 사퇴하고, 박용성위원(두산)의 IOC내에서 입지약화, 인천시의 2014년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전 등은 한국의 스포츠 외교력이 약화는 물론 평창유치의 악재임은 분명하다.

 유치위는 그나마 박용성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9일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 4주년 특별사면 대상에 포함된 것은 분위기반전의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보고있다.

 박위원은 2000년부터 IOC위원으로 활동하다 두산그룹 비자금조성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으면서 지난해 3월 IOC로부터 IOC위원으로서의 권리와 특전 및 직무자격을 잠정 박탈당했다.

 IOC는 한국 정부의 결정을 보고 3월 중 박 위원에 대한 최종 징계여부를 결정할 예정으로 이번에 특별사면이 이뤄짐에 따라 자격정지도 풀리게 될 전망이다.

 하계아시안게임의 유치결정도 IOC의 결정사안이다.

 전문가들은 "올림픽유치란 대사를 치르면서 반드시 상대가 있고 넘어야 할 산은 있기 마련"이라며 "이를 극복하고 상대가 갖고 있는 악재를 호재로 삼을 경우 승리한다는 병법의 이치가 적용되는 유치전이 돼야한다"고 말한다.

 평창올림픽유치의 가능성을 묻는 기자의 질문
저작권자 © 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